학도의용군 전승기념관
학도의용군전승기념관의 소개
6.25 전쟁 당시 조국이 누란의 위기에 처했을 때 국내,외 학생들은 펜을 던지고 총검을 잡고 오직 구국의 일념으로 자진 참전하여 꽃다운 나이로 7,000여 명이 산화하였으며, 국내학생 5만여 명과 재일유학생 641명이 전투에 참가한 것을 비롯하여 약 20여 만명이 후방선무 및 공작활동, 위문활동, 잔비소탕작전등에서 활약하였습니다.
특히 이곳 포항은 낙동강 최후 방어선으로 육군제3사단 소속 학도의용군 71명이 포항여중(현, 포항여고)에서 단독으로 전투에 참전하여 김춘식 외 47명이 산화한 곳이며 전국에서 제일 많은 학도의용군이 희생된 격전지로 이곳 출신 생존 학도의용군은 1979. 8월부터 이곳 탑산에 터를 잡고 학도의용군 전적물 보존, 추념행사 및 현지 안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1996. 6월 청외대등 각계에 건의 및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학도의용군 전승기념관 건립을 추진, 국방부의 6.25전쟁 50주년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건립비중 일부를 국비 지원으로 포항시에서 2001.3월~2002. 7월에 이르러 본 기념관을 건립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이곳 포항은 낙동강 최후 방어선으로 육군제3사단 소속 학도의용군 71명이 포항여중(현, 포항여고)에서 단독으로 전투에 참전하여 김춘식 외 47명이 산화한 곳이며 전국에서 제일 많은 학도의용군이 희생된 격전지로 이곳 출신 생존 학도의용군은 1979. 8월부터 이곳 탑산에 터를 잡고 학도의용군 전적물 보존, 추념행사 및 현지 안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1996. 6월 청외대등 각계에 건의 및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학도의용군 전승기념관 건립을 추진, 국방부의 6.25전쟁 50주년기념사업의 일환으로 건립비중 일부를 국비 지원으로 포항시에서 2001.3월~2002. 7월에 이르러 본 기념관을 건립하게 되었습니다.
관람안내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및 신정, 설날, 추석 당일
- 관람시간 : 09:00 ~ 18:00
- 단체관람 관람코스 : 영상물 관람 → 전시실 → 전몰학도충혼탑 참배 수용인원(시청각실) : 150명
- 예약 문의처 : 학도의용군 전승기념관 ☎ 054-247-8000
학도의용군 정신의 유래
젊은이는 국가의 미래이며 희망입니다.
조국이 위기에 봉착했을 때 그것을 보고만 있을 수는 없다는 구국의 일념으로 펜대신 총을 잡은 학도의용군의 정신은 바로 화랑도 정신과 조선시대 유생들의 의병정신에서 유래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신라의 삼국통일에 기초가 된 화랑도는 국가와 동지를 위해 의에 죽는 것을 즐겼고, 병석에서 약사발을 안고 죽는 것을 수치로 여겼으며, 적국에 패하면 자결할지언정 포로가 되는 것을 수치로 알았습니다.
이런 화랑도의 정신은 고려와 조선에 이어져 국난이 있을 때마다 다시 부활되어 우리 민족 고유의 독립, 애국정신이 되었습니다.
임진왜란과 조선후기에 두드러진 활동을 보인 조선시대 유생들의 희생정신은 찬란히 일어나 외침에 의하여 국가가 위태로울 때 자발적으로 봉기하여 목숨을 초개같이 던진 바로 구국정신의 실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도의용군의 정신
- 애국애족정신 : 삶의 터전과 교정을 송두리째 빼앗기고 조국의 존립이 경각에 놓였을 때 학도의용군들이 자발적으로 출정하여 구국전선에서 살신보국의 충성과 멸사봉공의 희생을 보여준 그들의 정신은 바로 애국애족정신입니다.
- 희생정신 : 조국이 누란의 위기에 처해 있을 때, 뭉쳐 모인 학도의용군들은 져야할 의무도 없었지만, 펜대신 총을 잡고 조국수호에 나섰다가, 꽃다운 나이 푸른 꿈 배움의 뜻을 이루지 못한 채 호국의 산으로 산화하신 그들의 정신은 바로 희생정신입니다.
- 구국정신 : 어느 누가 부르지도 않았고 어느 교사가 시킨 것도 더더욱 아닌데도 조국의 위난을 그저 보고만 있을 수 없다고 궐기하여 계급도 군번도 없는 병사로서 적을 쳐부수다가 장렬히 선화한 그들의 정신은 바로 구국정신이었습니다.
찾아오시는 길
학도의용군 전승기념관
-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탑산길 14
교통정보
- 시외버스터미널에서 111번 타고 포항의료원에서 하차, 도보 7분 소요
- 시외에서 오는 경우 : 경주에서 대잠사거리를 지나 직진하여 흥해방향으로 가다가 용흥동 포항의료원방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