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소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해안로 95
- 열린관광
-
지체장애
시각장애
포항의 밤은 낮보다 아름답다, 5경 영일대&포스코야경
백사장 길이 1,750m, 너비 40~70m, 면적 38만㎡로, 포항의 대표적인 해수욕장으로 알려져 있다. POSCO와 영일만이 보이며, 백사장의 모래가 고와 가족단위 피서지로 적합하다. 샤워장, 탈의장, 무료주차장 등의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포항여객선 터미널에서 두호동 설머리까지 1.2km 구간에 나무데크, 산책로, 야외무대, 자전거도로, 해송 터널 이벤트 공간으로 조성되어 있다. 차량과 시민들로 북적거리던 영일대해수욕장 인접 도로를 인간 중심의 공간으로 바꿔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휴식공간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50여 개 횟집이 밀집해 있어 포항의 명물인 물회, 모둠회 등을 맛볼 수 있다. 오른쪽으로 송도해수욕장과 포스코, 왼쪽으로 환호해맞이공원과 인접하여 특히 야경이 아름다운 곳으로 해수욕철이 아니더라도 많은 시민들과 관광객이 찾고 있으며, 주변에 횟집, 레스토랑 등 80여 개 업소가 밀집해 바다와 함께 좋은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곳으로 포항의 대표 관광지이다.
영일대 해상누각
‘한국의 정서를 담다’와 ‘바다 위를 걷다’라는 기본 구상 아래 해를 맞이한다는 뜻의 영일대는 전국 최초의 해상 누각이다. 포항의 새로운 명물로 2013년 대한민국 공간문화대상을 수상하였다. 바다 한가운데 세워진 2층 높이의 전통 누각 영일대에서 동해의 일출을 보는 감동을 느낄 수 있다. 영일만 동해와 포항의 야경을 바라보는 전망공간으로서의 랜드 마크로 부상하고 있으며, 전통 누각 123㎡, 전망데크 738㎡, 인도교 80m 규모로 지어졌다.
영일대 장미원
영일대해수욕장에 새로운 관광명소로 아름다운 장미의 향연을 만끽할 수 있는 ‘영일대 장미원’이 포항 두호동 영일대 누각 앞에 펼쳐져 있다. 아름다운 바다와 영일대 해상누각을 배경으로 멋진 사진을 남길 수 있다. 면적 4,200㎡에 50여 종의 장미 5,500주가 심어져 있고, 길이 1,050m에 달하는 장미터널 15곳, 장미꽃탑 10곳, 포토존 2곳, 경관조명 등이 조성돼 있으며 나들이객들에게 사진 찍는 재미를 선사한다. 특히 LED조명을 활용해 야간에도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함에 따라 영일대해수욕장을 찾는 사람들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설머리 물회지구
북부해수욕장의 끝에는 설머리 해안마을이 있다. 설머리 물회지구는 예로부터 바다를 끼고 있어 먹을거리가 풍성한 고장으로 알려져 있다. 포항물회는 고기를 잡느라 바쁜 어부들이 재빨리 한 끼 식사를 때울 요량으로 방금 잡은 물고기를 회쳐서 고추장 양념과 물을 넣고 비벼 훌훌 들이마셨던 데서 유래된 음식이다. 처음에는 어부들 사이에서 유행했다가 차차 주민들에게 알려지면서 포항물회라는 지방 특유의 음식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물회의 재료는 가자미, 광어, 도다리, 노래미 같은 흰 생선을 주로 사용하지만 오징어와 한치, 그리고 해삼, 개불, 성게 등 해산물도 물회의 재료가 된다. 설머리 물회마을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인정한 우수외식업지구로서 포항에서 가장 순수하고, 감칠맛이 일품인 물회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세상에서 가장 싱싱한 회가 있는 곳, 세계인이 즐길 수 있는 글로벌 외식문화의 관광명소이다.
포스코
영일만의 기적을 함께 이루어낸 포스코의 야간 경관은 LED 조명으로 경쾌하고 에너지 가득한 역동적인 모습을 표현하여 포항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상징하는 ‘가치를 더하는 빛’으로 빛을 통한 포항시의 정체성 확보 및 대표 랜드마크이다. 포스코 야경은 형산강변, 영일대해수욕장, 환호해맞이공원 송도해변 등 어느 곳에서 바라보아도 아름답고 각각의 매력이 있어 해가 진 시각에도 많이 찾는 명소이다. 야간경관 조명 공사는 딱딱한 제철소의 이미지를 벗기 위해 2004년 환경센터와 형산발전소에 처음 설치됐다. 이후 2010년 야간경관 개선 사업과 재정비사업을 통해 6년 만에 새 모습으로 공개됐다. 전력효율이 낮은 투광 등기구가 1500여 개의 친환경 고효율 LED 조명으로 교체됐고, 제철소의 용광로를 상징하는 색체를 구현하기 위해 금빛을 테마로 구조미와 색채미, 입체미를 부각한 것이 특징이다.
최근 업데이트 2022-12-22